Blog.
All Tags.UUID를 PK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8/27/2024 • 13 min
회사에서 레거시 코드를 보던 도중 PK를 UUID로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UUID를 사용하는 이유 에 대해 찾아보던 중 새롭게 알게된 내용과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기록해보려고 한다.
블로그를 이사하려고 합니다.(feat. 도큐사우르스)
8/20/2024 • 13 min
회사에서 작은 사내 스터디를 시작하게 되었다. 같이 참여한 동료들은 개발팀 5명으로 1일 1커밋과 주 1회 블로그 업로드를 규칙으로 정했다. 하지만 내가 운영 중이던 블로그는 많은 수정이 필요한상태다.
필드주입을 쓰면 안되는 이유를 아시는지요.
8/7/2024 • 7 min
레거시 코드를 마이그레이션 하던중 @Autowired을 통해 필드 주입으로만 의존성을 주입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생성자 주입으로 변경 하려고 하였지만 왜? 라는 의문이 들었고 이 포스팅 작성을 시작하였다.
Nodered와 Ntfy로 알림 기능을 뚝딱 해보자
4/12/2024 • 13 min
기존에 구축되어있던 레거시 프로젝트에 알림기능 추가가 필요하였다.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일정이 정말 촉박했고, PHP로 구축된 Backend 서버를 직접 다룰수가 없는 상황 등으로 NodeRed, Ntfy를 통해 알림기능을 뚝딱 도입했던 경험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사내에 TIG스택을 도입하며 (Telegraf + InfluxDB + Grafana)
12/6/2023 • 18 min
입사 이후 운영중인 환경을 보면서 사내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해야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모니터링 시스템이 없는 환경에서 서버에 하나씩 Ping을 날려보고, 로그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운영을 하고 있는 현재 상태를 우선적으로 바꿔야할 필요 성을 느꼈다.
자바 메소드 참조 조금더 알고 사용하자.
12/6/2023 • 7 min
"코드는 짧아지지만 의미는 더 명확하게."
코드스테이츠 메인 프로젝트 회고입니다.
12/3/2023 • 18 min
길었던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메인 프로젝트는 프리때 보다 신경을 써야할 것도 많았고 노력도 더 많이 필요하였다. 내가 맡았던 부분 이외에도 팀장으로서, 세세하게 신경써야 하는 부분이 힘들기도 하였지만 돌이켜보면 성장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부트캠프 동기와 함께하는 코드 리뷰
10/19/2023 • 9 min
백엔드 팀원 중 한분과 프로젝트를 마치고 코드 리뷰를 진행하였다. 말이 거창해서 코드리뷰이고 본인이 구현한 부분에 대해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였다. 나는 자격증 정보를 어떤식으로 불러오는지와 표출하는 방법등에 대해서 설명을 했고, 팀원분이 궁금해 하셨던 공공데이터 포털 API로 코드값을 넣어서 전달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그리고 나는 팀원분이 구현했던 스프링시큐리티쪽에 관해서 질문을 했고 답변을 들었다. 이부분에 대해서 기록을 남기려고 한다.